-
[11/21 Mon] 3차 회의록 - 정의서 작성, 업무 분담, 일정 공유Django/Final Project 2022. 11. 22. 15:41
공지 사항
근데 본격적으로 사용하면서 정리해보니까, 슬랙 유료 버전에서 크게 달라지는 점이 아래와 같다.
* 90일 이후에도 메시지와 파일 유지 기능 -> 프로젝트 총 기간이 40일 정도임, 최종발표 후에도 1달 넘게 유지됨
* 3인 이상 원격 회의 기능 -> 원격 회의 필요할 때만, 디스코드로 사용하면 충분
* 워크플로 빌더(봇 같은 자동화 프로그램 만들기), 채팅 및 채널 정렬시키기 등의 기능 -> 프로젝트 진행에 필요없음
즉, 아직까지 불편한 점은 없기 때문에, 일단 그냥 무료 버전 써도 괜찮을 듯..?
=> 나중에 유료가 정말 필요하다고 판단 되면 그 때 전환하는 걸로
개발 일정
* 팀별 대면 날짜 포함시키기
* 기능정의서 다음 단계 사이트 맵 구상 + 프론트/백엔드 구현할 기능 찾아보기
11/21(월)~11/25(금) 세부 데이터 선정 및 수집 / 기능정의서 작성
11/26(토) ~ 12/2(금) 데이터 전처리 과정 / 장고 웹 연동 및 지도 API 세팅
11/29(화) 팀별 등원 - 1 /
12/1(목) 화면정의서 작성
12/3(토) 1차 협업 멘토링
12/6(화) ~ 12/16(금) 데이터 분석 및 결과 정리 / 데이터 시각화 및 웹 화면 구현
12/6(화) 팀별 등원 - 2 / 피드백 수정 및 플젝 중간 점검
12/10(토) 2차 협업 멘토링
12/13(화) 팀별 등원 - 3
12/17(토) 3차 협업 멘토링
12/19(월) ~ 12/23(금) 출력 테스트, 피드백 수정
12/19(월) 팀별 등원 - 4
12/21(수) ~ 12/26(월) PPT + 프로젝트 일지 작성(포폴 제출용으로 정리, 신혜링크 참조)
12/23(금) 팀별 등원 - 5
12/27(화) 최종 프로젝트 발표
주제
대주제 : 생활인구 데이터를 통한 실생활 서비스
중주제 : 상권분석 서비스 웹사이트
소주제
1. 지도상에서 상권 활성화, 상권 특징 , 주변 기관 등의 상권 정도 표시해주기(네이버 주소 API 이용)
2. 분석 데이터 시각화
- 차트, 필터 사용, 카테고리로 선택가능 - 월별 시간대별, 업종별로 나눠서 상권별 - 구별 - 동별
- 젠트리피케이션, 핫플지수, 키워드, 강세업종 뽑기 등
구 하나를 정해서 구현해보기
- 주말에 실제 활용하고 가공할만한 데이터 있는지 확인해보고, 월요일에 정하기
- 참고할만한 데이터 및 사이트 링크 수집하기
(회의 내용)
매출 데이터는 공개가 안되어 있다
강동구 -
구를 하나 정해서
어느 구이든, 거주자 대비 수익 / 시간대별 하차 인원 대비 수익 /
KOSIS -구 별로 데이터가 많음,
업종 분류 , 매출 비교,
전국 대비 매출
점포수 , 종사자수 ,-> 해당 업종이 이 지역에서 강세인지 -> 색깔로 지도에서 표시
최근 3~4년 동안 추세를 볼 수도 있다
치킨, 한식, 일식,피자, 분식 정도의 세분화 ,
전체 대비 비율로 소득이 조사되어 있다
https://golmok.seoul.go.kr/commercialArea/commercialArea.do
* 소상공인마당 상권정보 서비스 -> 클론 코딩
용산구 와 서울시 전체를 비교하기
지역 : 용산구
시계열 분석 , 시간대별 추이를 차트로 시각화
여러 곳에서 필요한 기능을 참조해서 가져오고, 우리는 하나의 페이지로 만든다
상권별로
기능 정의서 다정이 이번주 금요일까지
->
화면 정의서, 피그마 디자인 - 호경, 현성, 현진
->
백엔드 기능 추가할거 생각(로그인, 게시판)
https://grow-s0.tistory.com/69?category=1001748?category=1001748
웹 기획에 필요한 문서 정리 (메뉴 구조, 기능정의서, 화면설계 등)
1. 사업계획 - 사업 배경 (필요성) - 쇼핑몰 소개, 특징 - 경쟁사 분석 - 일정 계획 2. 히스토리 : 그동안의 변경된 내용이나 문서 버전 3. 공통사항 : 화면설계서에 사용될 일종의 규칙을 정리 4. 메
grow-s0.tistory.com
기능정의서 피드백
1. 공지사항 게시판 - 이용 안내 페이지도 이미 있기 때문에, 공지사항 게시판은 굳이 없어도 될 것 같다...?
2. 중간 플젝 때처럼 '자주 묻는 질문'를 먼저 제시하고, 그 다음 QnA 게시판으로 유도하는 방식
3. QnA 게시판에 대한 추가 기능 제안 : [현호형 피드백] + '페이징 처리, 검색 기능, 유효성 검사(빈 칸 있으면 알려주는거), 최근에 추가한 글은 new라고 표시하기?'
4. 업종 검색 - (현호형 피드백) '업종검색은 중분류까지만 분류하니까 주소검색하면 포커싱으로 대체해도 좋을 것 같숩니다' -> 업종을 검색하면 업종 카테고리에 하이라이트 같은 이펙트를 줘서 강조해준다는 의미가 맞을까요??
5. 상권 분석
왼쪽 배너 : 상권별, 업종별 등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특정 데이터를 표시할 때, 순위를 표시해주는 리스트를 배너로 띄워주고
지도 : 지도에서도 순위를 표시해주면 좋을 것 같아요
6. 메인 배너 : 네이게이션 바와 함께, 메인 페이지에서 주요 기능으로 바로 갈 수 있는 큰 버튼들로 된 ui/ux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(눈에 띄는 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을 써서)
작성해야 할 서류
* 프로젝트 시 작성할 서류 - 연습하는 거니까 실무처럼 해보면 좋을듯
기능 정의서 : 구현하려는 기능을 단위별로 나열하여 작성하는 서류, 의뢰자 또는 관련자들 사이의 이해의 차이를 좁히기 위함
https://brunch.co.kr/@firstevan/5
엑셀로 작성
화면 정의서 : 화면에 대한 설명과 동작방법 등을 작성, 의뢰자 또는 관련자들 사이의 이해의 차이를 좁히기 위함
피피티로 작성
API 연동 규약서 :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요청해야 하는지, 그리고 그러한 요청을 보냈을 때 어떠한 형식으로 무슨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는지"에 대해 정리한 일종의 규격->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데 사용할 parameter 형식 등을 정의한 서류이다.https://cong4u.tistory.com/402* 다음에도 수정할 수 있고, 모든 팀원들이 언제든 확인할 수 있도록 구글 공유 시트, 공유 프레젠테이선 이용
ERD: 화면 정의서와 WBS에서 활동되는 다이어그램(흐름도 같은)-> 기능 정의서와 화면 정의서에 포함될 예정
WBS: 업무분류체계 , 종속 관계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결과물을 여러 계층으로 나눠 시각적으로 분류한다-> 우리가 회의록에 작성해서, 단계별로 하나씩 해나는 것 자체가 계층으로 나눠진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인 것 같다.
* 업무 분담 - 중복으로 하는게 다양한 경험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...? 해보고 싶은 사람?
데이터 분석 2명 - 신혜, 현호 : 수집은 다같이
1. 전통적인 분석 방법(파이썬, R)
2. 딥러닝(텐서플로우, 케라스?)
장고 5명 - 호경, 다정, 시우, 현진, 현성
1. 백엔드 - 시우, 호경, 현성
2. 프론트엔드 - 현진, 호경, 현성
3. 서류작업, 발표 - 다정(도움이 필요한 곳에 투입)
4. 프로젝트 관리 - 호경
* 결론
소상공인마당 상권정보 서비스
-> 클론 코딩, 적절한 기능 차용
지역 : 용산구 / 용산구 와 서울시 전체를 비교하기
단기 계획
기능 정의서 : 다정 이번주 금요일까지 마무리하면
-> 화면 정의서, 피그마 디자인 (프론트엔드)
-> 백엔드 기능 추가할거 생각 (로그인, 게시판)
업무 분담
0. 데이터 분석 - 신혜, 현호 (수집은 다같이)
1. 백엔드 - 시우, 호경, 현성
2. 프론트엔드 - 현진, 호경, 현성
3. 서류작업, 발표 - 다정(도움이 필요한 곳에 투입)
4. 프로젝트 관리 - 호경'Django > Final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/3 Sat] 1차 멘토링 회의록 (0) 2022.12.04 [12/1 Thu] 5차 회의록 - 핵심기능 수정, 화면정의서, 역할분담 제안 (0) 2022.12.01 [11/19 Sat] 2차 회의록 (0) 2022.11.19 [11/18 Fri] 1차 회의록 (0) 2022.11.18 [11/17 Thu] 선생님 피드백 + 팀장 회의록 (0) 2022.11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