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11/18 Fri] 1차 회의록Django/Final Project 2022. 11. 18. 18:25
* 화상회의 준비 - 티스토리 작성하는 디스코드에서 보이는지 스피커로 소리 들리는지 점검
협의할 내용
* 주제(데이터)
배리어 프리 - 장애인 및 고령자, 임산부 등의 사회적 약자들의 사회 생활에 지장이 되는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심리적인 장벽을 없애기 위해 실시하는 운동 및 시책을 말한다. 일반적으로 장애인의 시설 이용에 장애가 되는 장벽을 없애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.
장애인을 도와줄 수 있는 웹앱 만들기?
큰 주제 5가지 중 정해진 주제에 우리가 하고 싶은 주제 엮어서 세부 정하기
1)
특정 장소를 입력하면 지하철로 이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 알려준다? 예측한다?
- 지하철 장애인 훨체어리프트 설치현황
- 해당 장소와 가장 가까운 역 웹크롤링해서 가져오기?
- 목적지 BEST100 장애인 콜택시
2)
단지 - 지하철 셔틀버스
출퇴근 시간 많이 몰리는 지하철 데이터 -> 추가 시설 배치 제안
예를 들어 , 따릉이 같은거, 셔틀버스 - 교통 공사 또는 사기업에서 운영
3)
맛집 리뷰, 별점 토대로 맛집 리스트 -> 약속 중간 지점 찾아주기
이미 있는 아이디어를 구현해보는 플랜
큰 주제 -> 생활인구 데이터를 통한 실생활 서비스
4) *** 큰틀은 4번으로 확정
신도시에 '유동인구+유입인구'가 얼마나 투입이 되어야 상가가 활성화 되는지(손익분기 넘기기)
기존에 있는 도시의 인구 데이터를 이용해서
예를 들어 세종시는 왜 인구가 유입되지 않는지
판교, 위례, 등등 참조 -> 이미 성공한 신도시 사례로 전월세 얼마인지 보고
자영업자, 부동산 데이터
인구유입 및 유동인구에 따른 상가 활성도/손익분기점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
전월세, 거주인구, (낮/밤)유동인구, 매출, 입주율, 투자금 => 손익분기
손익분기를 토대로 왜 세종시는 유입되지않는지 =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어렵다나이, 직업 등 고려
* 업무 분담 - 중복으로 하는게 다양한 경험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...? 해보고 싶은 사람?
데이터 분석 3명 - 신혜(정), 현호(정), 현성(부)
1. 전통적인 분석 방법(파이썬, R)
2. 딥러닝(텐서플로우, 케라스?)
장고 4명 - 호경, 다정, 시우, 현진, 현성
1. 백엔드 - 다정(기능정의서), 시우(정)
2. 프론트엔드 - 현진(정), 호경(부)
3. 서류작업(2명?), 발표 - 다정, 현진(화면 정의서)
4. 프로젝트 관리 - 호경
**
주제 구체화
기능 구체화
디자인 개요**
* 프로젝트 시 작성할 서류 - 연습하는 거니까 실무처럼 해보면 좋을듯
기능 정의서 : 구현하려는 기능을 단위별로 나열하여 작성하는 서류, 의뢰자 또는 관련자들 사이의 이해의 차이를 좁히기 위함
화면 정의서 : 화면에 대한 설명과 동작방법 등을 작성, 의뢰자 또는 관련자들 사이의 이해의 차이를 좁히기 위함
ERD : 화면 정의서와 WBS에서 활동되는 다이어그램(흐름도 같은)
WBS : 업무분류체계 , 종속 관계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결과물을 여러 계층으로 나눠 시각적으로 분류한다
api 연동 규약서 :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요청해야 하는지, 그리고 그러한 요청을 보냈을 때 어떠한 형식으로 무슨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는지"에 대해 정리한 일종의 규격
회의록(회의 때마다 기록하고 끝나고 바로 정리해서 공유 때리기)
프로젝트 일지(개발 경험치 텍스트로 각자 블로그에 남기기)
발표&포트폴리오 ppt
* 협업툴
- 슬랙 vs. 디스코드
여담) 현업자 친구가 면접 때 슬랙 써봤냐는 질문을 받음, 협업툴 경험이 채용결과에 크진 않지만 여러모로 장점이 있다고 생각
솔직히 슬랙에서 지원하는 전문 기능을 다 사용하기는 어렵겠지만,
많은 현업에서 슬랙을 다 쓰고 있는 만큼 미리 연습하고 나중에 면접에서 사용 경험을 어필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.
1달에 만원은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
원격회의 시에는 디스코드 사용
담주부터 바로 설치 - 기능정의서부터, 담주 월요일부터 적용하기
* 전달 사항
정말 주제를 구체화해야한다는 것이고, 회의를 하면서 구체화하는게 아니라 회의 하기 전에 각자 준비를 좀 해와서 회의 시간동안 얘기를 해보자는 것 이었습니다.
그래서 우선 오늘 호경오빠가 내일 회의시간(아직 다들 정해진건 아니지만) 전까지 생각해와야할 부분들 좀 있다 말해줄 것 같고, 그걸 기반으로 내일 얘기해보면 조흘 것 같아요
그리고 월요일에는 왠만하면 다 같이 나와서 기능정의서를 함께 써보자오늘 남은 시간동안 얘기 나눌것은
1. 슬랙 사용할 지?
2. 토요일 회의시간 , 월요일 회의 가능 여부* 결론
* 구체화할 아이디어
어떤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지
이게 왜 필요한지
사용자가 누구인지
**중요) 사용할만한 데이터 찾아오기
계획)
오늘은 남은 시간 - 못다한 회의 마무리(협업툴 제안 등)
각자 아이디어 구체화 + 실제 데이터 준비 -> '텍스트로 정리'해서 가져오기
토요일 오후 8시~10시, 2시간 원격 회의로 세부주제 정하고
월요일 끝나고 , 오프라인으로 기능정의서 , 다같이 작성 (이때 업무 분담 확정지어보기)- 시우, 현진 오프라인 권장
'전체적인 개발 일정 계획 + 슬랙 도입하는 것' -> 일단 주말에 작성해서 일요일까지 공유
외부참조링크
https://m.blog.naver.com/heyarech07/221164495460
[Do it 웹 사이트 기획 입문] 기능 정의서 작성 방법과 작성 사유
웹 사이트 제작 과정 중 작성해야 하는 기능 정의서라는 문서가 있습니다. 소규모 웹 사이트 제작, 일반화...
blog.naver.com
[웹/앱 설계의 기본] 화면설계서 작성방법
프로덕트 매니저와 기획자의 메인 업무 중 하나는 UI 설계입니다. 이를 업계에서는 화면설계서, 화면정의서, 스토리보드, MMI(Man Machine Interface)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요. 고놈이 고놈
yslab.kr
https://asana.com/ko/resources/work-breakdown-structure
업무 분류 체계(WBS) 소개 및 사용 방법 • Asana
업무 분류 체계란 프로젝트를 여러 계층으로 분류하는 시각적 분류 체계입니다. 업무 분류 체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.
asana.com
https://enjoyinjoanne.tistory.com/56
[IT교양] 비전공자를 위한 API 이해하기 (feat. Open API, REST API)
"데이터를 API 형태로 받는다", "지도 API로 코로나 맵을 개발했다"하는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? 오늘은 비전공자, IT 무관 업계 분들도 어디선가 들어는 봤을 "API"에 대해 소개해보려고
enjoyinjoanne.tistory.com
'Django > Final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/3 Sat] 1차 멘토링 회의록 (0) 2022.12.04 [12/1 Thu] 5차 회의록 - 핵심기능 수정, 화면정의서, 역할분담 제안 (0) 2022.12.01 [11/21 Mon] 3차 회의록 - 정의서 작성, 업무 분담, 일정 공유 (0) 2022.11.22 [11/19 Sat] 2차 회의록 (0) 2022.11.19 [11/17 Thu] 선생님 피드백 + 팀장 회의록 (0) 2022.11.17